티스토리 뷰
오늘 포스팅에서는 가거도 여행, 가거도 배편, 인구, 교통편, 즐길거리, 특산물을 최대한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가거도 여행, 가거도 배편, 인구, 교통편, 즐길거리, 특산물 정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리니 가거도 여행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섬여행을 즐길 때에는 무엇보다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수영과 해양 활동 시 생명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산책이나 하이킹 시 안전한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섬여행은 인기가 많은 지역의 경우 숙소, 식당등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미리 사전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파악해야 하며 필요할 경우 반드시 예약을 해야 합니다. 또한 섬여행 시 여객선은 기상상황등 여러상황에 따라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수시로 배편 정보를 확인하시고 무엇보다도 신분증이 있어야 여객선 이용이 가능하니 신분증은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섬지역은 신용카드 결제가 안되는 곳도 많으니 현금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거도 여행, 가거도 정보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위치한 섬으로, 소흑산도 또는 가가도라고도 불립니다. 동경 125°07′, 북위 34°04′에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입니다. 면적은 9.09㎢이며, 해안선 길이는 22㎞입니다.
가거도는 조선시대에는 가가도로 불렸으며, 1896년부터는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 가거도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소흑산도로 지명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다시 가거도로 불리고 있습니다.
지질적으로는 주로 규암과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섬은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장축을 갖춘 긴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독실산(639m)이라는 높은 산봉우리를 비롯하여 기복이 큰 산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독실산은 신안군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롭지만, 남쪽의 사빈해안을 제외하면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식애가 발달하여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가거도리 앞 해빈은 규사가 풍부한 백사장으로 유리원료로 채취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산림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경작지는 적은 편입니다. 가거도의 기후는 1월의 평균기온이 2.0℃, 8월의 평균기온이 25.5℃이며, 연강수량은 1,112㎜입니다.
가거도의 인구는 2009년 기준으로 494명이며, 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인근 해역은 난류인 제주해류가 통과하고 있어 다양한 어족 자원이 풍부하며, 멸치, 전복, 농어, 장어 등이 주요 어획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선사시대의 유물로는 돌도끼, 돌바늘, 패총 등이 출토되었으며, 섬의 북쪽에는 소흑산도 등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교통은 목포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가거도초등학교와 신안흑산중학교 가거도분교장이 있습니다. 가거도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풍부한 어업 자원을 갖춘 곳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 중 하나입니다.
가거도 여행, 가거도 정보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작은 섬입니다. 면적은 9.18㎢이며, 2001년 기준으로 인구는 469명이었습니다. 가거도는 해안선 길이가 22㎞로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136㎞, 흑산도에서 남서쪽으로 65㎞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가거도라는 이름은 다양한 문헌에 나와 있으며, "가히 살 만한 섬"이라는 뜻의 '가거도(可居島)'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흑산도(小黑山島)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가거도는 1580년경 서씨가 처음으로 이곳에 정착하였으며, 그 이후로 임씨가 1800년경에 들어와 정착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가거도는 신안군에서 가장 높은 독실산(639m)을 중심으로 서남쪽으로 이어지는 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로우며, 남쪽의 모래해안을 제외하면 암석해안이 대부분입니다. 이곳의 모래는 규사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기후적으로는 1월의 평균기온은 2.8℃ 내외, 8월의 평균기온은 25.8℃ 내외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1134.7㎜ 정도입니다.
가거도 전체는 주로 산림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지가 제한적이어서 대부분의 주민들이 어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주변 해역은 조기를 비롯한 다양한 어족의 월동구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기, 멸치, 전복, 농어 등이 잡힙니다. 가거도에서는 후박나무를 서식지로하여 후박나무 껍질을 채취하여 소득을 올리기도 합니다.
가거도에는 남쪽에 굴섬마을을 중심으로 북동쪽에 대북리마을, 북서쪽에 항리마을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 섬에서는 능선을 따라 소로가 나 있으며, 목포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대흑산도를 경유하여 격일제로 운항되고 있습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와 흑산중학교 소흑산 분교 1개교가 있으며, 면출장소, 경찰지서, 우체국, 보건지소 등이 있습니다.
가거도에는 가거도패총(지방기념물 제130호), 멸치잡이노래(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 구굴도 해조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천연기념물 제341호) 등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가거도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습니다. 독실산, 회룡산과 장군바위, 돛단바위와 기둥바위, 섬등반도의 절벽과 망부석, 구곡의 앵화와 빈주바위, 소등의 일출과 망향바위, 남문의 해상터널, 구굴도와 칼바위 등이 가거도의 대표적인 경치명소입니다. 특산물로는 가거도에서만 생산되는 뿔소라가 있으며, 다양한 약초도 자생하고 있습니다. 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등의 희귀조류도 이곳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가거도 여행, 가거도 정보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위치한 섬입니다. 좌표로는 동경 125°07′, 북위 34°04′에 자리하고 있으며 면적은 7.98km²입니다.
가거도의 역사는 1580년경에 서씨 가문이 최초로 입도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정확한 내력은 알 수 없으며 1800년경에 임씨 가문이 들어와 정착했다고 합니다. 현재 가거도에는 경주고씨와 평택임씨 가문이 살고 있습니다. 이 섬은 원래 하거도라고 불렸으나, 기암괴석과 후박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살 수 있다는 뜻으로 "가거도"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가거도에는 지방기념물 제130호인 가거도패총,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인 멸치잡이 노래, 천연기념물 제341호인 구굴도 해도류 번식지 등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어름동굴 전설과 멸치잡이 노래는 구전으로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기암괴석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변 해안에는 바다 낚시터가 형성되어 돔, 농어 등이 잘 잡힙니다. 가거도는 특히 돔 낚시터로 유명하며 많은 낚시꾼들이 방문합니다.
소흑산도에서는 희귀조류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수십 종의 조류가 번식하거나 서식하며, 철새들도 많이 거쳐가는 지역입니다. 울창한 천연림 속에서 산새들의 우는 소리는 자연의 오케스트라를 이루고 있습니다. 가거도에는 우리나라 조류계에 알려지지 않은 희귀조류들이 서식하거나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뿔쇠오리, 흰날개 해오라기, 황로, 흑비둘기, 오추 바다직박구리, 찌르레기, 직박구리, 박쥐나비 등 주요한 서식동물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흑비둘기는 천연기념물 제21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가거도에는 회룡산과 가무작지라는 명소가 있습니다. 회룡산에는 선녀봉이 있으며, 옛날에는 회룡산에 서남해의 용왕의 아들이 수도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선녀들이 이곳을 찾아와 노는 동안 용왕의 아들은 그들과 함께 춤을 추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용왕은 아들의 행동을 알게 되자 크게 분개하여 아들을 용산으로 변하게 했습니다. 선녀들은 그를 불쌍히 여겨 산봉우리에서 눈물을 흘리다가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이후 이 산을 회룡산, 산봉우리를 선녀봉이라고 불렀습니다. 선녀봉에는 현재 등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녀들이 춤을 추었던 곳을 "막구석"이라고 부릅니다.
가거도는 농어, 참돔, 감성돔, 방어, 우럭 등 다양한 어종들이 잘 서식하는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가거도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갯바위 낚시 5대지역 중 하나로, 크로시아 난류와 난대성 한류가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섬 전역이 낚시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보로 진입할 수 있는 포인트가 많습니다. 특히 2구부락에는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전문 숙박시설과 낚시 안내선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거도는 육지로부터 거리가 멀고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여객선 결항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가거도의 랜드마크인 독실산은 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고도 639m에 위치해 있습니다. 가거도는 온통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도의 섬세함 대신 남성적인 웅장함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산정에 서면 바다 안개가 끼어있어 독실산이 하늘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독실산은 가거도의 스카이 웨이라고 불리며, 중국 상해에서는 닭의 울음소리까지 들린다고 전해집니다.
독실산에는 풍란, 죽란, 새우란, 춘란 등의 고산지대 식물과 천리향,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이 자생합니다.
가거도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풍부한 어종, 그리고 독실산의 웅장한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이곳에서는 낚시, 등산, 자연 감상 등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가거도의 자생 식물이나 조류들도 관찰할 수 있으며, 특산물로는 가거도에서만 생산되는 뿔소라가 유명합니다. 그 외에도 가거도에는 다양한 역사적인 유적과 전설들이 존재하며,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가거도는 대한민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속해 있습니다. 가거도는 일본 시절에는 '소흑산도'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했으며, 목포에서 직선거리로는 145km, 뱃길로는 233km 떨어져 있습니다. 중국과 가장 가까운 땅이기도 하여 '중국의 닭 울음소리가 들리는 섬'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가거도에서 다시 본토로 돌아오기가 어려워서 "가거든 오지 마라"라는 우스갯소리를 자주 합니다. 6.25전쟁 당시에도 가거도 주민들은 전쟁 소식을 외부에서 들으며 아무런 피해 없이 지냈다고 합니다.
가거도는 면적이 9.18km2이며 해안선 길이는 22km로 비교적 작은 섬입니다. 대리(1구), 항리(2구), 대풍리(3구)라는 세 자연부락이 있습니다. 대리에는 면 출장소, 우체국, 보건소, 초·중학교 등의 공공기관과 여관, 슈퍼마켓, 음식점, 항만 등이 위치해 있으며, 주민 대다수가 거주합니다. 그러나 자연 풍광을 감상하기에는 항리가 가장 좋습니다. 깎아지른 듯한 해안절벽 사이에 자리한 항리마을은 독특한 풍경을 자랑하며, 섬등반도는 이국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항리 선착장에서는 낚시를 즐길 수 있으며, 주민들의 낚시모습을 구경하거나 직접 그물을 당기거나 날치를 떼어내는 등 어부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가거도는 갯바위와 여(礖)가 흩어져 있는 낚시 포인트로도 유명합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팔뚝만한 농어와 돌돔이 잘 잡히며, 1월 말부터 다음 해 3월 초까지는 50cm 이상의 감성돔이 많이 낚시되어 낚시꾼들을 흥분시킵니다. 가거도를 방문한 사람들은 짜릿한 손맛을 잊지 못해 다시 찾는다고 합니다. 가거도에는 섬 전체에 걸쳐 가까운 거리에 갯바위와 여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낚시를 즐기기에 천혜의 장소입니다.
또한, 가거도는 "가거도 8경"이라고 불리는 빼어난 절경을 자랑합니다. 이 중에는 독실산 정상, 장군봉과 회룡산, 돛단바위와 기둥바위, 병풍바위와 망부석, 구정골짝, 소등과 망향바위, 남문과 고랫여, 국흘도와 칼바위 등이 있으며, 이 절경들은 홍도 33경에 비견될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합니다. 가거도는 여전히 외딴섬 특유의 순박한 인심과 아름다운 자연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가거도를 방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박 3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거도행 여객선은 목포항에서 출발하며, 아침 8시에 출발합니다. 따라서 가거도를 방문하려면 그 전날에 목포에서 하룻밤을 묵어야 합니다. 가거도는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섬으로써, 숲이 울창하고 해안선에는 아름다운 절경이 펼쳐져 있어 다도해 최고의 관광지인 홍도와 비교되기도 합니다. 가거도 사람들과 자연은 아직까지도 그 순박한 인심과 아름다운 자연미를 가득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가거도는 후박나무로 유명한데, 후박나무는 가거도 일대에 자생하는 상록교목으로, 높이는 20m에 지름은 1m에 달합니다. 후박나무의 잎은 동백잎과 비슷하며, 가지 끝에 모여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털이 없습니다. 꽃은 5월부터 6월에 피고, 열매는 6월에 맺으며 흑비둘기가 이 열매를 즐겨 먹습니다. 후박나무는 천식과 위장병에 많이 사용되는 한방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목재로는 가구와 선박에 이용됩니다. 또한, 후박나무는 번식력이 뛰어나서 베어내면 자리에서 다시 새순이 나오거나 씨가 떨어져 번식합니다.
이렇듯 가거도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특산물인 후박나무로 유명한 섬입니다. 가거도를 방문하면 숨겨진 보물 같은 풍경과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가거도를 여행할 때에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여유롭게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가거도로의 배편 시간표와 요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23년 6월2일 실제 운항 배편 정보입니다.
행선지: 목포 - 소흑산(가거도)
뉴 퀸 배편 시간표:
[2023-06-02] 07:40에 뉴 퀸 예약/예매 - 소흑산(가거도)로 출발
[2023-06-02] 15:00에 뉴 퀸 예약/예매 - 목포로 도착
뉴 퀸 배편 요금:
1층 좌석:
어른: 67,200원
어린이(만 6세 이상 중 학생까지): 60,600원
유아(만 6세 미만): 54,100원
경로(만 65세 이상): 33,650원
2층 좌석:
어른: 67,200원
어린이(만 6세 이상 중 학생까지): 60,600원
유아(만 6세 미만): 54,100원
경로(만 65세 이상): 33,650원
그 외 좌석:
어른: 61,300원
어린이(만 6세 이상 중 학생까지): 55,400원
유아(만 6세 미만): 49,400원
경로(만 65세 이상): 30,650원
※ 7월에서 8월에는 성수기 기간으로 할증요금이 적용됩니다. 할증요금에 관한 사항은 선사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뉴 퀸은 목포와 소흑산(가거도) 사이를 이동하는 배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요금은 좌석 등급과 연령에 따라 다르며, 성수기 기간에는 할증요금이 적용됩니다. 정확한 요금 및 예약/예매에 관한 사항은 해당 선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가거도 여행, 가거도 배편, 인구, 교통편, 즐길거리, 특산물은 가장 최신 업데이트된 정보를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 하지만 가거도 여행, 가거도 배편, 인구, 교통편, 즐길거리, 특산물은 향후 사정에 따라 변할 수도 있으니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라며 가장 최신 정보는 지자체 홈페이지,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또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노란풍선 여행사들의 여행 정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니 함께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가거도 배편 정보는 여행 당일의 기상 상황, 선박사정, 여객선터미널 사정 그리고 여름(하계), 겨울(동계)에 따라 출항 여부와 시간표등이 변동이 될 수 있으니 가장 최신 배편 시간표는 한국해운조합의 가보고싶은섬 홈페이지나 어플 또는 아래 최신 배편 확인하는 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신 배편 시간표, 예약 방법, 요금, 차량선적 요금 확인하는 법